분류 바람팁

PK + PVE에 필요한 저항, 어떤 식으로 계산/적용 될까?

컨텐츠 정보

본문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찾아뵙겠습니다.

얼마 전, 대격변 패치가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냥터에서도, 레이드에서도,

그리고 바람의나라 꽃인 PK에서도 

없어서는 안 될 저항이 


바람의나라의 능력치 연산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면밀히 살펴보겠습니다.


-------------------------------------------------------------------------------------------


요약


1. 1품의 6셋 모능5%, 내공강화 올신화 모능1%는 저항이 0%인 경우 적용되지 않는다.

2. 사신수 시동 (50%), 불멸황룡무효 (모든저항 50%) 는 단독 합연산으로 적용된다.

3. 가문무구에 붙은 기본 및 세트효과, 직업 별 스킬에 붙은 상태이상 보너스는 

단독 합연산으로 적용된다.

4. 저항수치는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6이상일 때만 반올림으로 계산되고,

6 미만일 경우는 버림으로 계산된다.

5. 생산 [조제술] 에서 제작가능한 환약은 단독적용, 최종 저항보유수치에

합연산으로 적용된다.


----------------------------------------------------------------------------------------------


CASE 1) 시동환수장비 (1마리) 또는 본장비에만 저항이 있는 경우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20147_3623.png
 

아주 단순한 예로,

유저 A의 마비저항이 환수에는 없고, 

본장비에만 위와 같이 붙어있다 가정하겠습니다.

(본장비에 없고, 환수장비에 있다는 경우도 똑같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이럴 경우, 최종 저항수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27440_5197.png
 

위 공식에 의해 계산하면, 

장비저항수치의 합은 52%이고, 내공강화 신화등급 보너스로 1%를,

1품의 모든능력 보너스로 5%를 받아 52%에서 6% 만큼 가산되므로 

3.12%가 추가되어 52+3.12=55.12(%) 가 됩니다.


만약, 1품의가 없거나, 내공강화가 전설등급이라면 (유효옵션만 PICK)

가산되는 정도에서 1% 혹은 5%를 제외하시면 됩니다.


※ CASE 1에서의 주의사항 ※


위 공식에서, 1/100 (1%)내공강화 올신화 달성으로 얻은 보너스 수치이고,

5/100 (5%)1품의 6셋 효과로 얻은 보너스 수치를 의미합니다.


CASE 1의 최종공식에는 둘 다 적용되므로, 편하게 합연산으로 기재했으나,

이를 따로따로 분해해서 계산할 경우

 내공강화 올신화 효과 (1%)가 선적용이고,

1품의 효과 (5%)가 후적용됩니다.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20783_01.jpg
 

(정확히 일치함을 알 수 있습니다.)


---------------------------------------------------------------------------------------------- 


CASE 2) 본장비, 시동환수장비 (1마리) 모두에 저항이 붙어 있는 경우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23611_0781.png
 

이번에는 유저 A의 마비저항이 본장비에도, 시동용 환수장비에도

위와 같이 적용되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이러면, 최종 저항수치는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36744_8574.png
 

위 공식에 그대로 대입하면, 최종 마비저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23696_739.png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24318_1416.jpg
 

(계산한 값이 정확히 오차없이 맞아 떨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 


CASE 3) 본장비 + 시동용 환수장비 

+ 수호용 환수장비 (1마리) 에 저항이 붙어있는 경우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24799_0346.png
 

세 번째 경우에는, 유저 B의 전투력이 8만에서 10만 사이인 경우

최종 속박저항의 수치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환수 2마리가 등록된 경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30444_8306.png
 

(점점 복잡해지죠...?)


​먼저 CASE 2 에서, 황룡시동을 했을 때 속박저항의 수치를 계산하겠습니다.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25724_5154.png
 

최종 속박저항의 수치를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27013_8282.png
 

---------------------------------------------------------------------------------------------- 


CASE 4) 본장비 + 시동용 환수장비 

+ 수호용 환수장비 (2마리) 에 저항이 붙어있는 경우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29616_0555.png
 

마지막으로, 전투력 10만이 넘는 유저 C의

최종 침묵저항 수치를 계산해보겠습니다.


환수 3마리가 모두 등록된 경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a61853bd4ae201f5304f01b9d9e270a4_1715537219_8115.png
 

(머리 아프고 어려워도 잘 따라오시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먼저, CASE 3처럼, CASE 2에서의 침묵저항 수치를 계산해봅시다.


ab355c578b44e9acb6a3c414676a0021_1715538142_8076.png
 

다음으로, CASE 3에서의 침묵저항 수치를 계산하겠습니다.


ab355c578b44e9acb6a3c414676a0021_1715538229_0427.png
 

최종 침묵저항 수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ab355c578b44e9acb6a3c414676a0021_1715538296_5596.png
 

위 경우는 3환수 모두에 침묵저항이 있다는 예시였고,

만약에, 환수 3마리는 있으나, 2마리에만 침묵저항이 있다면,

CASE 3까지 계산한 것이 최종 보유저항이 됩니다.


마찬가지, 3환수는 보유하고 있으나, 시동용 환수에만

침묵저항이 있다면, CASE 2까지 계산한 것이 최종 보유저항이 됩니다.


---------------------------------------------------------------------------------------------- 


결론


CASE 2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따름정리 2가지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Corollary 1 

환약 없이, 1저항 100%를 맞추려면, 1환수 (시동용 환수) 기준

1품의 6셋 + 본장비 합저항 48% + 환수장비 합저항 48%를 만족시켜야 한다. (총합 100.80%)


Corollary 2

환약 없이, 1저항 100%를 맞추려면, 1환수 (시동용 환수) 기준

1품의 6셋 + 내공강화 올신화 + 8부위 합저항 95%를 만족시켜야 한다. (총합 100.70%)


Corollary 2가지를 이용하면, 다음의 원추측 (conjecture)을 발견할 수 있고,

이를 저항작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특상환약 (15%), 상환약 (13%), 전장비약 (5%)는

서로 중첩이 가능하지만, 여러 개를 동시에 섭취하여

2개 이상의 저항을 올릴 수는 없습니다.

(동시에 마비+속박 환약 2개를 먹을 수 없음)


이 둘은 모두 따로 합연산으로 적용되므로,

저렴하게 사신수시동환수 1마리만으로 

1저항 100%를 만드실 분들이 계시다면,

환약은 꼭 사셔서 드셔주세요.


---------------------------------------------------------------------------------------------- 


PVE 기준으로는 100%만 되면, 절대마비가 걸리지 않는 이상

저항이 모두 면역이기에 상관이 없지만,


PK 기준으로는, 무기에 붙은 무시부적의 수치, (EX) 수면저항무시

명경에 붙은 각 저항별 무시 수치,

그리고 가문특성에 적용되는 무시 수치를 고려해야 하기에

100%만 맞춘다고 완전 면역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CASE 4에서 볼 수 있듯이,

3환수 모두에 같은 저항으로 도배를 하게 되면, 그 수치가 적더라도

합산수치가 어마무시하게 늘어나서, PK 기준으로도 낭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황룡무효를 받고 고루고루 얼마나 분배를 잘하냐가 관건입니다.


---------------------------------------------------------------------------------------------- 


공략에 도움을 주신


연서버 3명의 익명 유저분,

하자서버 <밤하늘> 문파에 재떠리, 씩씩, 루트, 화출

그리고 <美部> 문파에 메가필살, 흑분

모두 감사드립니다.


다음에는 PVE 기준, 각 사냥터와 레이드에서

보스들이 거는 패턴과 이에 따른 저항수치 등을 알아보겠고,


그 다음에는 정말 복잡한 PK 관련 저항 및 효율적으로 저항작하는 방법,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직 오차범위가 5% 정도 존재하는

데미지 공식에 대해서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5개 / 1페이지

흰고라니님의 댓글

데미지공식 기대하겠습니다!!
가능하면 시뮬레이션으로도 만들어보고싶네요. 연속함수가 아니라서 예외처리를 엄청 해줘야할것같아요 ㅋㅋ

은욱님의 댓글의 댓글

연속함수 일 리가 없고, 변곡점과 미분 불가능한 점들이 너무 많아 곡선이 매끄럽지 않은 게 제일 문제인 것 같습니다. 저도 노력은 해 보고 있는데, 힘드네요 ㄷㄷ..
Total 24 / 1 Page
번호
제목
닉네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