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성 가이드
분류 생산

[입문] 생산에 필요한 준비물 알아보기 (2024.06.13 기준)

컨텐츠 정보

본문

 

2024년 6월 13일 목요일에

생산관련 어마무시한 대패치가 있었습니다.


먼저, 패치 관련 링크를 걸어드리겠습니다.

https://m.baram.nexon.com/Notice/Content/144401 


위 패치가 도대체 왜, 얼마나 근간을 뒤흔드는 패치인지

이해하려면, 생산에 관한 모든 지식을 전부 다 알고 있어야 하기에,

어쩔 수 없이 입문 편 부터 다시 글을 작성하게 된 점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이 때문에 리뷰하는 데 시간이 꽤나 걸렸습니다.)


------------------------------------------------------------------------------


입문 편은 생산에 필요한 기본준비물과

입문하는 방법 및 어떻게 레벨업을 하는지

등, 초보자분들을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패치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 의문점이 있으시거나,

어느정도 지식을 가지고 계시면 개론편의 "생산고유능력치 분석편" 과

각론편의 "페널티 0%" 및 "성공률 분석편" 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생산에 아예 관심이 없는 분들이면 각론편만 보시면 됩니다.)


------------------------------------------------------------------------------ 


0-1. 입문과정


부여성, 국내성, 한성, 위례성, 바람농원에 있는 각 최고장인 npc를 찾아가

입문 시 필요한 아이템인 단단한 채집, 제작도구 모두를 구매하시고

입문하기를 누르시면 완료됩니다.

(구매하신 채집도구들은 버려주세요!)


------------------------------------------------------------------------------ 


0-2. 생산의 종류와 UI 


입문 후 기본 단축키 J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등장합니다.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81084_1694.png


1차생산은 채집생산이며 직조, 벌목, 채광, 조제를 이르지만, 

조제의 경우 1차생산보다 2차생산에 가깝습니다.


2차생산은 제작생산이며, 재봉, 목공, 대장, 강화를 이르고

1차생산으로 얻은 재료들의 완제품을

다시 재료로 사용하여 2차생산만의 완제품을 생산하는 시스템 입니다.


오른쪽 그림에 있는 UI 창은 2가지 방법으로 여실 수 있습니다.

1) 단축키 J창을 열어 원하는 생산종류의 아이콘을 클릭

2) 장인의집 최고장인 NPC 앞 제작대를 클릭


이 중에서도 1)번 방법을 굉장히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일명 원격조종)

위 방법 만큼은 꼭 숙지해주세요.


다음으로, 아무 부적 하나를 구매/제작하여 

클릭하면 등장하는 UI 창을 소개하겠습니다.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81313_842.jpg
 

이제 슬슬 머리가 아파옵니다.. 성공률은 뭐고 강화부적성공률은 뭐..지? 

어떻게 적용되는거지?


걱정하지 마세요! 각론편에서 정말 하나하나씩 뜯어서

설명을 해 드릴 예정이니,


입문 수준에서는 이런 UI 창이 있구나, 하고만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이 창은 정말 중요합니다. 생산인이 아니신 분들이더라도

이 창 만큼은 아마 수십~수백번 여셨을 겁니다.)


------------------------------------------------------------------------------ 


1. 채집도구


채집도구는 총 6가지가 있지만, 대중적으로 3종류를 사용합니다.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78847_0365.png


1) 맥가이보와 채집실속패키지


맥가이보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82257_5261.png
 

단돈 1000원 차이로 채집실속패키지 안에는 

맥가이보 1달, 비기서 1달, 그리고 숙련물약이 있습니다.


맥가이보는 채집, 제작도구를 모두 하나로 통합시켜주지만

고유능력치에서 후술할 "재료소멸방지율" 에 해당하는

재료보호부적을 바를 수 없기 때문에 제작도구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채집비기서는 사용하면

채집할 때 주재료의 획득확률을 100%로 만들어주고,

일정확률로 2배가 드랍됩니다.

각론편에서 후술하겠지만, 채집성공률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비기서를 먹으면 비기서가 안 먹히는 품목인 금천군 절장품목을 제외하고

모든 지상계 품목에서 부재료 획득확률이 채집성공률에만 영향을 받게 됩니다.

(반면에, 비기서가 없을 경우 주재료 또한 채집성공률에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부재료의 습득확률이 떨어지게 됩니다.)


2). 황금류와 빛나는황금무기 


이 둘은 모두 최고목공장인 NPC에게 제작이 가능하며

모두 종류 별 1달에 1회만 제작할 수 있습니다.

(황금류는 명장인 이상 단계에서, 빛나는황금류는 전설장인 단계에서만 제작이 가능합니다.)


맥가이보는 내구도가 무제한이지만

황금류와 빛나는황금류는 내구도가 정해져 있고, 수리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신수보주 내구도 보호율 (1쌍 착용시 최종 합연산) 이 상시 적용되면서

내구도가 아예 닳지 않게끔 변경됨에 따라

보주 1쌍은 1성 쌍이라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더하여

눈치가 빠른 분들은 아시겠지만, 황금류와 빛나는황금류는 타격치에서

현저한 차이점을 보이는데


단계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채집물들의 체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절대장인 품목의 경우는 맥가이보로 3~4방을 때려야 하지만

빛나는황금류의 경우 2방까지 압축시키므로, 시간단축에 유리합니다.


------------------------------------------------------------------------------ 


2. 생산전용 치장무기활[궁]


치장무기활은 예전부터 평타공속이 2배 증가되어 

시간단축에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과연 지금도 여전히 적용되고 있을까요?

(외형이 치장활로 보여야만 적용됩니다. 본템인 경우는 적용 X)


아래의 두 움짤을 자세히 봐주세요!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82877_9215.gif
빛나는황금무기 (본템, 외형 둘다) 착용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82854_516.gif

빛나는황금무기 (본템) + 치장무기활 (외형) 착용


자세히 보시면 알겠지만, 2배까진 아니더라도 확실히

공속이 조금이나마 빨라짐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굳이 치장활을 얻겠다고 탐험일지무기상자를

100만전을 지불하면서까지 리롤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있으면 좋습니다.)


------------------------------------------------------------------------------ 


3. 제작도구


앞서 생산 UI 에서 성공률 메뉴를 보셨을 건데요,

성공률은 제작성공률과 채집성공률 2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하지만, 생산 UI 로 품목을 제작할 때에는 제작성공률만 영향을 미칩니다. 


제작성공률은 90%가 MAX이며, 100%를 만들 수 없기에

MAX 기준이라도 실패확률 10%가 존재합니다.


제작 시 실패하면, 재료가 증발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8품목에 해당하는 기본 제작도구에

 재보부를 바르시고 제작하셔야 합니다.

(각 단계별 재료소멸이 100% 보호되는 구간이 따로 있기 때문에

이건 각론편을 참고해주세요!!!!)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84150_3967.png
 

8품목에 해당하는 기본 제작도구를 제외하고

장인의집에 가보시면, 생산상인 앞에 아래와 같이 절구가 놓여져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84584_9253.jpg
 

이 절구는 생산상인 npc가 판매하는 '절구공이' 라는 

특수한 제작도구로 특정 제작물품을 빻아 재료를 획득하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bc4a510b7cab02ca921a8b6377c93aa8_1719198466_2161.png


절구질은 제작이 아닌 조합 시스템입니다.

만약, 조합재료를 잘못 넣으면 '만들 수 없습니다.' 라는 메뉴가 시스템 창에 기록되며,

성공하면 재료가 모두 사라지면서 재료완제품이,

실패하면 일정재료가 남고, 나머진 증발합니다.


물론, 제작도 실패하게 되면 재보부를 발랐다 하더라도

재료가 증발되는 품목이 있긴 있습니다만,

절구공이의 경우 실패하면 예외 없이 재료가 증발합니다.

(재료가 100% 보존되는 경우가 없습니다.)


따라서, 절구공이에는 재보부를 바를 필요가 없습니다.


------------------------------------------------------------------------------ 


4. 생산갑옷과 투구


제작도구와 채집도구를 마련하셨다면 

이제는 생산전용장비를 마련하셔야 본격적으로 생산이 가능합니다.


일명 24/32, 20/32, 20/20 이라고 불리는데,

앞 수치는 '채집/제작성공률' 을 의미하며

뒷 수치는 '(강화)내구도페널티감소율' 을 의미합니다.

(두 능력치는 곧 올라갈 개론 능력치 분석편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아래와 같이 투구와 갑옷에 캐시샵에서

보호구슬을 구매하여 발라주시면 됩니다.

(캐시샵에서 구매하거나 패스로 얻은 강화구슬은

생산 입문 여부와 상관없이 무조건 100% 성공합니다.)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90721_0435.png
 

생산입문자분들은 타인에게 생산장비 구매 시

반드시 최소한 페널티 20% 이상 발린 걸 구매하셔야 합니다.

(갑옷에는 20%를 붙일 수 없습니다.)


또한, 아래와 같이 캐시샵에서 9800원에 패키지를 판매하므로

직작하실 분들은 반드시 이거 하나만 구매해서 직작해주세요!
(이거 패키지 하나면 전부 다 끝납니다.)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91199_4788.png
 

성공률의 경우 높으면 높을수록 좋은데,

되도록이면 전설성공강화부적 (22~24%) 사이 발린 걸 구매해주세요.

(최고성공강화부적보다 재료드랍률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를 보입니다.)

 

직작 완료가 끝났으면 아래와 같이 2가지 능력치가 발라져 있어야 정상입니다.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91032_2042.png
 

25% 성공률 부적은 8전장 혜택으로만 얻을 수 있는 부적이라

구매/판매 자체가 안 됩니다.

또한, 발려져 있는 매물 자체도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이기에

8전장이 아니신 분들은 부위 당 24%가 맥스라 보시면 됩니다.


------------------------------------------------------------------------------ 


4. 채집물의 재료분류


이렇게 제작도구, 채집도구, 생산세트 까지 모두 마련하셨으면

본격적으로 채집을 하셔서 레벨업을 하시거나,

채집물을 이용하여 제작으로 레벨업을 하셔야 합니다.


채집을 하다보면 가지각색으로 재료가 드랍되는데요,

과연 이 재료들은 어떻게 분류될까요?

아래의 표를 잘 봐주세요!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88200_0787.png
 

위의 분류를 정확히 숙지하고 계셔야만

각론 및 실전편에서 후술할 능력치 분석 편에서 이해가 정확히 됩니다.


------------------------------------------------------------------------------ 


★ 5. 생산단계와 생산레벨업


생산단계는 총 11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문 시 왕초보로 시작하여 전설장인이 END 입니다.


8개의 생산품목은 레벨 끝자리가 0에서 풀경이 되면

 '단계업' 시험을 거쳐야 합니다.

이 단계업 시험이 뒤로 가면 갈수록 굉장히 괴랄하기에 멘탈이 갈리실 수 있습니다.


1차생산의 경우 단축키 J를 눌러 바람농원에 입장

서쪽 끝에 있는 NPC 박옹에게 1시간마다 채집하면 폭업이 가능합니다.

(단계가 올라갈 때마다 무더기가 1개씩 증가하여 전설장인이 되면

총 12무더기를 캘 수 있지만, 맵에 가로막혀 한 무더기는 캐지 못합니다.)


또한, 바람농원에서 채집으로 얻는 경험치는 단계에 비례하여 고정입니다.


2차생산은 제작생산이기에 얄짤없이 무조건 제작을 하셔야 합니다.


생산 UI에서 보셨다시피, 각 품목에는 품목레벨이라는 것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품목레벨을 이용하여 해당품목의 +9레벨 까지 레벨업이 가능하며,

피시방 혜택으로 +9레벨 끝에서 제작하여 +10레벨로 오버된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10레벨로 오버된 상태에서는 경험치가 더 이상 오르지 않습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아래의 그림을 참고해주세요.


3d2e1c6bc1c658634657b25db5e7b312_1718792156_7464.png


그럼 왜 이렇게 레벨업을 해야하는 걸까요?


이유는 특정 구간에서 제작 시 상급재료가 무지막지하게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개론편에서 본격적으로 다루겠지만,

생산재능이 낮으면 낮을수록 상급재료 획득확률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정말 멘탈이 갈리실 수 있어요.)


8전장 기준, 재능이 MAX인 104라 하더라도,

상급모시천의 경우 침묵저항강화부적의 선행재료인 '청심환'의 코어재료이기에

되도록이면 다른 곳에 쓰기엔 아깝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런 방법으로 재료가 정말 Hell 인 구간을 뛰어넘거나

초반부터 헬품목을 제작해야 해서 수량이 어마무시하게 들어가는

상급재료의 양을 확연히 줄일 수가 있습니다.


------------------------------------------------------------------------------


6. 생산부캐릭


재봉술 레벨업에 필요한 문어의심장

청심환/방방부 제작에 필요한 인어의심장

장인 단계업 재료에 필요한 해마의심장, 색호박류

강화술 명장인 단계업 재료에 필요한 하선녀의실타래

채광술 대장인 단계업 재료에 필요한 황금호박

이 6가지는 드랍률 페널티가 있기 때문에 본캐릭으로 캐면 멘탈이 나갈 수 있습니다. 

(복어의심장과 상어의심장은 페널티가 없습니다.)


따라서, 거래소에서 구매하시거나

호박/심장류의 경우

99레벨 노승급 전사/도적 부캐릭 (마력무제한)

또는 110레벨 미만의 천인 부캐릭으로

직접 캐셔야 합니다.

(도적과 전사의 경우 정확히 마력 무제한은 아니지만 거의 무제한에 가깝습니다.)


하선녀의실타래의 경우는 4차 이상,

호박류나 심장류의 경우 3차 이상 이면

페널티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 


이상으로 입문 편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다음에는 본격적으로 생산에 관련된 고유능력치인


생산단계

생산재능

생산성공률 (채집/제작성공률)

재료소멸방지율

(강화)부적성공률

(강화)내구도페널티감소율


이 6가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개론편으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7개 / 1페이지
Total 109 / 1 Page
번호
제목
닉네임